<한국교회사17>대구선교의 발원지-대구제일교회, 동산의료원 17.대구선교의 발원지-대구제일교회, 동산의료원 ▲ 대구제일교회 구관 ▲ 의료선교박물관 미 북장로교는 우리나라에 선교사를 보낼 때 지역별로 파송했는데 서울에는 언더우드, 평양에는 마펫, 그리고 대구에는 베어드였다. 이렇게 파송된 베어드(W.M. Baird, 1862~1931 한국명: 배위량)선교사.. 감리교뉴스 한국교회사 2016.01.05
<한국교회사16> 신앙을 지키며 순교한 병촌교회66인, 순교기념탑 16. 신앙을 지키며 순교한 병촌교회66인, 순교기념탑 순교기념탑 병촌교회 충청남도 논산지역은 본래 미국 남장로교 선교회 소속 선교사들이 배를타고 서해안을 답사하다가 선교후보지로 선정하고 선교하던 지역이다. 병촌리는 풍요로운 삶을 누리던 전형적인 농촌마을이었으며 병촌교.. 감리교뉴스 한국교회사 2016.01.05
<한국교회사15> 연동교회 게일 목사와 천민출신 고찬익 장로 15. 연동교회 게일 목사와 천민출신 고찬익 장로 ▲ 연동교회초대장로 고찬익 ▲ 은퇴시의 게일선교사 연동교회 제1대 장로 고찬익(高燦益1857~1908)은 본래 평안남도 안주(安州) 천민태생이다. 그가 성장하면서 거리를 휘젓고 다니던 건달, 술주정뱅이, 난봉꾼이었는데 관가에 끌려가 매 맞.. 감리교뉴스 한국교회사 2016.01.05
<한국교회사14> 이 땅에 빛을 남긴 호주 선교사들과 창신대학교 14. 이 땅에 빛을 남긴 호주 선교사들과 창신대학교 창신대학 전경 최초 호주선교사 데이비스 호주 선교사 순직묘원 조셉 헨리 데이비스(Davies Joseph Henry, 1856-1890)는 1889년 10월 2일 호주에서 한국으로 파송된 최초의 선교사다. 서울에서 5개월간 머물며 한국말을 뱅ㄴ 그는 복음의 불모지였.. 감리교뉴스 한국교회사 2016.01.05
<한국교회사13>평신도순교자 천곡교회 최인규 권사 이야기 13.평신도순교자 천곡교회 최인규 권사 이야기 ▲ 최인규 권사 ▲ 최인규 권사 순교기념 천곡교회 평신도순교자 최인규(1881)는 평범한 농사꾼이었다. 1881년 삼척군 송정리(현 동해시 송정동)의 부유한 양반가 최돈일 씨의 차남으로 태어난 그는 어린 시절부터 서당에서 한문수학을 하는 등.. 감리교뉴스 한국교회사 2016.01.05
<한국교회사12> 선교 100주년기념 한국기독교순교자기념관 12. 선교 100주년기념 한국기독교순교자기념관 <박관준 장로 순교추모비> <한국기독교순교자기념관> 이 땅의 기독교선교역사는 1885년 4월5일 아펜젤러와 언더우드 선교사가 제물포항에 첫발을 내디딤으로 시작되었다. 1983년 한국교회는 선교 100주년을 앞두고 20개 교단이 연합하여.. 감리교뉴스 한국교회사 2016.01.05
<한국교회사11>야월교회 전교인 65명 순교자들의 흔적 11.야월교회 전교인 65명 순교자들의 흔적 <순교자탑> <야월교회 순교기념관> 전남 영광군 염산면 야월리에 교회가 세워진 것은 1908년 4월 5일이었다. 당시 미국 남장로교 배유지 선교사는 목포에서 배를 타고 전북지방을 여행하다가 야월리에 배를 대고 평화롭고 조용한 야월리 마.. 감리교뉴스 한국교회사 2016.01.05
<한국교회사10>대한민국의 여성 1호박사 우월(又月)김활란 10. 대한민국의 여성 1호박사 우월(又月)김활란 ▲ 김활란 박사 (1899-1970) ▲이화여자대학교 김활란 동상 김활란(金活蘭1899.-1970.)은 인천 배다리마을에서 8남매 중 막내로 태어났다. 원래 이름은 '기득'(己得)이었는데, 내리교회 전도부인 헬렌에게 전도를 받은 어머니의 영향으로 7세 때 헬.. 감리교뉴스 한국교회사 2016.01.05
<한국교회사9>첫 번째 양화진에 묻힌 헤론선교사 9. 첫 번째 양화진에 묻힌 헤론선교사 ▲ 존 헤론 선교사 영국태생의 존 헤론(John W. Heron. 1858~1890)은 미국의 테네시종합대학교 의과대학에서 개교 이래 최우수 성적으로 졸업한 뛰어난 인재였다. 그는 실력을 인정받아 테네시대학 교수로 초빙 받는 등 대단한 이목을 끌고 있었다. 그러나 .. 감리교뉴스 한국교회사 2016.01.05
<한국교회사8>두암교회 23인 순교자 이야기 8. 예수이름으로 죽어간 두암교회23인의 순교자이야기 ▲ 두암교회의 전경 ,오른쪽에 순교자 탑이 보인다 전북 정읍시 소성면 애당리 두암 마을의 두암교회는 한국전쟁이 발발했던 1950년도에 생각만 해도 끔직한 동족상잔의 비극이 벌어졌던 곳으로 기록되고 있다. 그 참혹한 순교 현장.. 감리교뉴스 한국교회사 2016.0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