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지순례 | 한국기독교선구자 서상륜 | ||||||||||||
| ||||||||||||
스코틀랜드선교사 로스(Ross)와 매킨타이어(J. MacIntyre)는 중국에서 선교활동을 하면서 조선선교에 대한 꿈을 키워가고 있었다. 1874년 의주사람 이응찬을 만나 조선선교에 관심을 갖자, 그의 친구인 이성하, 백홍준, 김진기 등이 고려문에서 만나 최초로 신앙의 공동체를 형성하였다. 그 중 이응찬은 로스 선교사의 조선어 교사로 일을 하면서 성경말씀을 통하여 복음을 받아들이게 되었다.
당시 조선은 대동강 변에서 토마스 선교사가 순교한 이후 더욱 쇄국정책이 강화되고 있었다. 그러나 로스와 매킨타이어 선교사는 머지않아 조선에도 선교의 문이 반드시 열릴 것을 믿고, 성경번역사업을 위하여 조선청년들에게 투자하면서 성서번역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었다. 마침내 로스선교사는 서상륜의 도움으로 1882년 최초로 『로스역 누가복음』을 번역하여 중국 땅 심양에서 한글성경을 발간하였다. 이는 한문에 조예가 깊은 서상륜의 결정적인 역할이 없이는 불가능하였다고 하는 점에서 로스와 서상륜의 공동번역이라고도 말한다. 그렇게 성경을 번역한 서상륜은 또 하나의 사명을 안고 그가 번역한 누가복음을 안고 압록강을 건너 고향 의주로 돌아오게 된다. 그러나 도중에 압록강 국경 관리들에게 적발되었다. 그 당시는 성서 반입이 철저하게 금지되었으나 고향 친구의 도움으로 10권을 챙겨 고향에 오게 되었다. 그는 고향에서 전도에 위기를 느끼면서 동생 서경조와 함께 외가가 있는 황해도 장연의 소래(송천松泉)로 피신하였다. 그는 자기의 가슴 품속에 몰래 숨겨온 성경을 가지고 외가 친척과 인근 주민들에게 복음을 전하기 시작하였다. 전도가 점차 활기를 띠면서 가정집 예배처소에서 정기적으로 예배를 드리게 되었는데 이로써 1883년 한국 최초로 외부의 도움 없이 자생적으로 소래교회가 생겨나게 된 것이다. 1885년 4월5일 언더우드와 아펜젤러 선교사가 한국최초 선교사로 입국하면서 조선 땅에도 본격적인 선교의 시대가 열리게 되었는데 소래교회는 그 이전에 이미 자생적으로 뿌리를 내리고 있었던 것이다. | ||||||||||||
'한국기독교역사 (신문 연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37. 서재필과 송재 기념공원 (2) (0) | 2010.02.23 |
---|---|
36. 서재필과 송재 기념공원 (1) (0) | 2010.02.04 |
34. ‘ㄱ’자 두동교회와 부자 박재신 (0) | 2009.12.22 |
33. 섬마을 선교의 어머니 - 문준경 전도사 (0) | 2009.12.16 |
32. 생매장당한 3000여명의 순교자와 해미성지 (0) | 2009.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