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지순례 | 대부흥사 - 김익두 목사 | ||||||
| ||||||
이들 중, 스왈렌(소안론: 1859-1954) 선교사는 미국 오하이오 주 태생으로, 1892년 한국에 왔다. 이후 1901년에 평양으로 전도 거점을 옮겨 1932년 73세의 나이로 명예 은퇴할 때까지 원산, 평양 등을 중심으로 48년 동안 한국에 머물며 선교활동을 펼쳤다. 그는 황해도 재령에 선교부를 설치하고 황해도 일대를 다니며 부흥사경회를 인도하였는데, 1900년 안악 장날에 안악교회에서 부흥사경회가 열렸을 때 소안론 선교사 부인도 안악 장터에 나가 전도지를 돌리고 있었다. 그런데 때마침 깡패 김익두 청년이 나타났다. 그에게 전도지를 건네며 서툰 한국어로, “오늘 밤 안악교회에서 부흥사경회를 하니까 꼭 나오세요.” 하자 김익두는 그 자리에서 전도지에 코를 풀었고 그 모습을 본 소안론 선교사 부인은 “그렇게 하면 당신 코가 썩습니다.”라고 하였다. 그날, 김익두는 만취가 되어서도 그 말이 머릿속에서 떠나지 않았다. 그리고 혹시라도 자신의 코가 썩을까 걱정하며 뜬 눈으로 밤을 새우는 중에 지난날의 잘못들이 하나하나 떠올랐다. 이후 절친 박태환의 전도로 안악군에 있는 금산교회에 입교했다. 1900년, 그의 나이 27세 때였다. 김익두는 1901년 1월에 소안론 선교사에게 세례를 받고 매서인(賣書人)이 되었는데, 조롱을 당하고 돌에 맞으면서도 과거의 잘못을 생각하며 겸손히 참으며 전도했다고 한다. 이에 소안론 선교사는 1903년에 그에게 신천교회의 개척을 맡겼다. 그의 열심 있는 전도와 설교에 은혜를 받은 많은 사람들이 생겨나면서 교회는 급성장했다. 김익두는 1906년 평양신학교에 입학하여 1910년 3회로 졸업하고, 1911년 목사안수를 받았다. 그는 그길로 자신에게 믿음과 능력주시기를 간구하였다. 그리고 그해 12월, 경북 달성의 현풍교회에서 부흥회를 인도하던 중, 아래턱 기형환자 박수진이 고침을 받았고 이듬해 9월 부산진교회에서는 8년 동안 걷지 못한 소년, 등이 굽은 곱사병자, 한센병 환자, 폐병 환자, 혈루병자 등 많은 병자들이 치유 받는 집단적 기적현상도 일어났다. 이때부터 김익두 목사는 신유부흥사로 전국에 이름을 알렸고 가는 곳마다 인파로 발 디딜 틈이 없었다고 한다. |
'한국기독교역사 (신문 연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65. 제주 대정교회와 제주 1호 목사 이도종의 생애와 순교 (0) | 2010.09.10 |
---|---|
64. 구세군의 마리 위더슨 선교사 (0) | 2010.09.03 |
62. ‘한국인보다 더 한국을 사랑한 사람’ - 헐버트 선교사 (0) | 2010.08.17 |
61. 평북 선천, 기독교사의 양전백과 매쿤 선교사 (0) | 2010.07.29 |
60. 빈민, 나환자들의 아버지 오방 최흥종 목사 (0) | 2010.07.23 |